2024년 05월 10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채 기자

sfmks@ekn.kr

정희채 기자기자 기사모음




정부, 우리은행 민영화 ‘고심’…하반기 가시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6.07.19 08:32

하반기 결정 못하면 내년 대선 때문에 매각 미지수
공자위, 다음달 본위원회 개최…시나리오 나올까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추진하기 위해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올 하반기 안에 어느 정도 가닥이 잡힌다면야 문제가 없겠지만 올해를 넘길 경우 내년 대선 등으로 인해 자칫 잘못하면 내년도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매각심사 소위를 갖고 우리은행 매각 작업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공자위는 우리은행을 매각하는 데 있어 조기 민영화하고 공적자금을 최대한 회수하며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또한 매각 주관사를 통해 우리은행 매각에 실제로 참여할 유효 투자자가 얼마나 있는지 검토했다.

정부는 현재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중 30~40%를 4~10%씩 쪼개 파는 방식의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4차례 우리은행 민영화를 시도했으나 모두 무산돼 이 방법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매각 방침이 정해진 뒤 아부다비투자공사,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등과 초기 매각이 이뤄지는가 싶더니 유가 급락 등으로 실제 지분 매각까지는 성사되지 못했다.

이에 최근 일부에서 정부가 매각을 서두르기 위해 매각대금의 분할 납입까지 검토 하고 있다는 설까지 나돌자 정부는 해명자료까지 내며 사실무관이라고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은행 민영화가 최근 이슈로 부각된 상황에서 그나마 정부에 힘을 실어주는 것은 공적자금 회수 원칙보다는 조기 민영화가 우선이라는 데 초점이 모아지고 있는 부분이다.

지난 15일 한국경제학회가 주최한 ‘국내 은행산업 경쟁력 제고와 금융회사 민영화 방안’ 정책세미나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우리은행 민영화는 공적자금 회수 원칙보다는 조기 매각 원칙에 집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즉 금융산업 발전과 국민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차라리 조기 민영화가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또한 올해를 넘기게 될 경우 내년 대선을 앞두고 우리은행 민영화를 자칫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하는 부담감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총선 모드로 들어가면 우리은행 민영화는 뒷전이 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될 경우 현 정부는 또 다시 질타를 받게 된다"며 "최근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에 속도를 내는 부분도 이같은 상황이 한 몫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은행 매각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투자자의 양과 질이다. 현재 우리은행은 지분 투자 의사가 있는 기관이 20여곳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정부가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 작금을 모두 회수하려면 주당 약 1만3000원에는 매각해야 한다. 상반기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 가운데 우리은행 주가가 얼마나 상승하느냐는 것도 관건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현재로선 매각 방법이나 일정 등이 잡힌 게 없다"며 "얼마나 좋은 수요자가 지분을 투자하는 지가 중요하다. 이후에 매각 방법과 일정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공자위는 19일 본위원회를 갖어 수요 조사 결과 등을 보고받을 계획이었지만 일정을 다음달로 연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채 기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