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 이정훈 기자] 선진형 원격검침시스템의 대표적 통신기술인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와 LTE를 국내 시장 상황에 적용한 결과 폭넓은 커버리지, 유연성, 효율성을 충족한 LTE 통신 기반의 AMI가 기술적 기능, 발전 전망 및 성장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는 결과가 나와 주목되고 있다.
장석권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사진>는 국내 ICT분야 전문 학술지 ‘텔레커뮤니케이션즈 리뷰(Telecommunications Review, TR)’ 사물인터넷(IoT) 특집호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통신 기술의 기술 경제성과 비즈니스 모델 평가에 관한 논문을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사물인터넷의 대표 분야인 스마트그리드는 에너지와 IT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전력수급난과 환경 오염 등 현재 에너지 사업이 안고 있는 필연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인프라로 꼽히며 글로벌 차원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 중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요소인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선진형 원격 검침 시스템)는 전력 소비자와 공급자 간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의미한다.
스마트그리드 기술 경제성 평가 전문가인 장석권 교수는 이번 논문을 통해 AMI의 대표적 통신기술인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와 LTE를 국내 시장 상황에 적용한 결과, 폭넓은 커버리지, 유연성, 효율성을 충족한 LTE 통신 기반의 AMI가 기술적 기능, 발전 전망 및 성장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성 측면 역시 PLC 기술의 신호 감쇠 간섭 저항력과 LTE 기술의 PLC 대비 상대적 가격 경쟁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국내의 현장여건에서 PLC의 경우 하나의 데이터 수집 장치(DCU)가 5~10개 내외의 전자식 전력량계(스마트미터)를 수용하는 현실에서는 LTE가 PLC 대비 우월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향후 두 기술이 경쟁적으로 발전하더라도 기술 및 가격경쟁력의 발전추이를 감안할 때, PLC 대비 LTE의 경쟁력 우위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장석권 교수는 “현재 AMI 표준 정립을 위한 민관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PLC 방식 대비 LTE 기반 AMI의 기술적, 경제적 가능성을 주목할 시점”이라며, “정교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제휴 방안의 모색을 통해 LTE 기반의 AMI 구축 프로젝트를 국가 차원의 실행 전략으로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언했다.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장석권 교수는 지난 30 여 년 간 경영정보시스템 및 정보통신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활동 및 다양한 산학협력활동을 수행해 왔다.
한양사이버대학 대학원장, 정보통신정책학회 회장직을 역임한 바 있으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산업공학과 석사, 경영과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Telecommunication Systems, Telecommunications Policy 등의 해외저널 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이외 35편 이상의 연구보고서를 출간했다. 이정훈 기자 jhlee@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