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현대중공업 노조는 "사측이 인력 구조조정은 없다고 주장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인력 감축이 진행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조 측은 사측과 신뢰가 무너졌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또한 지난해 최악의 경영실적을 보인 이후 전방위적으로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직원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규정했다.
실제로 지난해 3조2495억원에 달하는 영업적자를 기록한 현대중공업은 지난 1월 초 과장급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해 1000여명이 옷을 벗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올해 초 과장급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할 당시 2·3차 구조조정에 나선다는 괴소문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노조 측에 따르면 2·3차 정리해고 대상은 4·5급 서무직(계약직 제외) 여성과 차·부장으로 평가 대상이 된 부서장이 은밀하게 선발된 부서원들을 평가하도록 장치를 마련했다.
실제로 사측은 최근 서무직 여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있다. 15년 이상 여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해 최대 40개월분의 급여와 자기계발비 1500만원을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장기근속대상 포상, 명예 승진 등의 처우도 제시했다.
또한 희망퇴직을 원하지 않는다면 강요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못박았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일시적인 자금부담이 있지만 일부 여직원들이 희망퇴직에 대한 문의와 건의 등이 있었다"며 "본인 의사를 존중하는 선에서 희망자에 한해 퇴직을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여직원의 희망퇴직 규모와 시기 등 희망퇴직과 관련해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조가 우려하는 생산직 감원에 대해서는 "생산직은 또 다른 문제이고 노조의 벽이 높아 쉽지않다"며 "현재 생산직 구조조정은 계획한 바가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2·3차 구조조정 문서에 대해 "해당 문서는 현대중공업에서 작성한 것이 아닐뿐더러 외부에 컨설팅을 의뢰하지 않았다"며 "직원이 희망퇴직에 지원하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상황이 종료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조 측은 이같은 사측에 대해 희망퇴직이 아닌 ‘구조조정’이라고 규정하며 강력 반발했다. 또한 잇따른 사무직 인력 감축에 이어 생산직까지 구조조정을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재까지 생산직 구조조정이 표면화 되지 않았지만 잠재 부실을 한꺼번에 털어내기 위해 생산직의 경우 아웃소싱을 실시해 감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과장급 이상과 최근 서무직 여직원 희망퇴직에 대해 "직원들에게 희망퇴직을 강요한 이후 직원이 ‘희망’하지 않을 경우 강한 압박을 한다"며 "그럼에도 ‘희망’하지 않을 경우 연고지가 없는 지역으로 발령을 내거나 컴퓨터를 빼고 업무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업무향상 프로그램은 업무와 무관한 교육을 일방적으로 실시하며 회사의 압박으로 일부 직원은 모멸감에 그만 두기도 했다"며 "노조의 강력 반대에도 불구하고 업황 등 실적부진 등을 이율유로 사측이 인력 구조조정을 강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현대중공업 노조 측에 따르면 지난 4일 오후 6시 넘어 대의원대회장에서 열린 여사원과의 간담회에서 참석한 250여명의 조합원들(여사원)은 아침부터 개별 면담, 집단 간담회로 권고사직을 강요당했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노조 측은 사업부별로 진행된 면담에서 ‘고졸 출신 여사원 전체(597명)가 대상으로 희망자가 있으면 신청하라고 전하며 지난 13일까지 결정해야 할 것이라며 압력을 넣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같은 내용은 지난 4일 아침 사업부별 조찬회에서 공식으로 논의돼 각 사업부 별로 부서장, 또는 중역 주관 아래 조직적으로 진행했다고 덧붙였다.(사진=현대중공업 노조) |
![]() |
▲현대중공업 노조 측은 2·3차 구조조정을 한다는 괴문서에 사실상 전직원을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실시할 것이라 주장했다. 사측은 "현대중공업 문서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사진=현대중공업 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