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6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안희민 기자

ahm@ekn.kr

안희민 기자기자 기사모음




GGGI-GCF 협업, 기후변화대응 한축되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4.11.19 13:25

▲2014 GGGI 국제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사진은 연설을 하고 있는 매리 로빈스 UN사무총장 기후변화특별대사.

[에너지경제] 전세계 기후변화대응에서
GGGIGCF의 협업이 점쳐지고 있다.

19일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2014 GGGI 국제컨퍼런스에 참여한 매리 로빈슨 UN사무총장 기후변화특별대사(이하 특별대사)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 역량이 충분하기 않기 때문에 GGGIGCF와 협업을 통해 실현가능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로빈슨 특별대사는 “GGGI이 개도국에게 적합한 프로젝트를 수립하는 역할이 중요하다향후 GGGI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것이 전세계 기후변화대응이 GGGI-정책기획, GCF-자금조달 구도로 집약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많은 행위자가 있고 각국의 정치적 지원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보 드 보어 GGGI 사무총장은 세계은행이나 UNIDO, UNFCC 등이 있기 때문에 GGGIGCF가 전세계 기후변화대응을 견인한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GGGI는 개도국이 기후변화대응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빈슨 특별대사도 각국의 정치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적 지원이란 특점 시점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목표달성 노력 등을 말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GGGIGCF의 역할은 이전보다 증대될 전망이다.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성장을 표방하는 전문기구는 GGGIGCF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이보 드 보어 사무총장은 “GGGIGCF가 기후변화대응 양대 산맥은 아니지만 유일한 전문기구라고 말했다. “GGGI가 개도국에 접근할 때 GCF가 도움 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향후 GGGIGCF가 협업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큼을 의미한다. 한국에 본부가 위치해있고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GCF는 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 역량을 진작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이 출연한 기금이다.

실제로 GGGI의 역량은 강화되고 있다. 18일 개최된 GGGI 이사회에서 향후 5년간 펼칠 사업계획인 ‘GGGI 5개년 전략이 확정됐다. 17명의 GGGI 이사회 구성원 중 10명이 공여국과 개도국 대표임을 고려하면 이사회가 향후 5개년 사업계획을 추인했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 재원 확충과 조직정비도 어느 정도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보 드 보어 사무총장은 영국, 덴마크, UAE 등 공여국들이 연간 5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확충된 재원은 기존 사업계획을 다시 수립해야할 정도라고 말했다. “조직도 과거 미래지향적이었던 성격이었지만 지금은 개도국 지원 프로그램 수립에 적합하도록 합리화했다고 말했다.

로빈슨 특별대사는 20GCF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환담할 예정이다. GCF가 공여국의 지원약속만 있지 실제로 자금을 모으지 못해 사업하지 못하고 있다는 기자의 지적에 개도국이 기후변화대응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실한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응수했다.

이들의 발언은 GGGIGCF가 협업관계 속에 향후 개도국의 기후변화대응에 적극 나설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매리 로빈슨 특별대사는 현재 기후정의라는 비영리 민간단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아일랜드 대통령을 역임했다.

GGGI22개 회원국이 있으며 현재 20여개국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4년 예산은 4700만달러이다. 우리나라는 이 중 1000만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