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시황] 코스피 강보합, 코스닥 약세…한싹·삼륭물산 상한가

28일 코스피가 장중 등락을 반복한 끝에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54포인트(0.10%) 오른 2548.84를 기록했다. 장 초반 2551.23으로 상승 출발했지만 이후 하락과 상승을 오가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흐름을 보였다. 수급별로는 개인(-552억원)과 외국인(-1078억원)이 매도 우위를 나타냈으나, 기관이 959억원어치를 순매수해 지수를 방어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네이버(1.03%) △LG에너지솔루션(0.73%) △기아(0.57%) 등이 강세를 보였고 △삼성전자도 소폭(0.18%) 상승했다. 반면 △SK하이닉스(-1.30%) △HD현대중공업(-0.87%) △신한지주(-0.80%) 등은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비철금속, 방송·엔터테인먼트, 백화점 및 일반상점, 건설, 다각화된 통신서비스 등이 상승했다. 특히 고려아연이 5.42% 오르며 비철금속 업종 강세를 이끌었다. 테마주 중에서는 보안주(정보) 테마가 4.44% 상승해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 중 한싹(430690)이 상한가(30.00%)를 기록하며 강세를 주도했다. 같은 날 코스닥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28포인트(1.41%) 하락한 719.41에 마감했다. 외국인(-590억원)과 기관(-1139억원)의 매도세가 이어진 반면, 개인은 1851억원을 순매수했다. 한편, 이날 시장에서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종목은 △삼륭물산(30.00%) △한싹(30.00%) △유비벨록스(29.99%) 등으로 모두 상한가를 기록했다. 아이스크림에듀(29.98%)와 옴니시스템(29.97%) 역시 상한가 근접한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종목은 △오름테라퓨틱(-30.00%)으로, 하한가에 근접한 급락세를 나타냈다. 이어 △캔버스엔(-29.91%) △경남스틸(-24.57%) △태양금속우(-20.86%) △한국선재(-17.02%)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1원 상승한 1442.60원에 마감했다. 국내 순금 1돈 살 때 가격은 65만9000원, 팔 때는 56만2000원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한화에어로 기습 유증 배경두고 논란 계속…주주 설득이 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3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발표하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현금성 자산만 3조원에 달하는 기업이 갑작스레 유상증자에 나섰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유상증자를 발표한 시점과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한화 오너 일가의 승계와 연관됐다는 의심과 함께 주주 희생을 수반하는 유상증자로 직행했다는 비판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20일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가 금융감독원이 두 차례 “정보 기재가 미흡하다"며 정정을 요구하자 계획을 수정했다. 최초 3조6000억원이던 유상증자 규모는 지난 8일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2조3000억원으로 줄였다. 나머지 1조3000억원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소유한 한화에너지 등이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메우기로 했다. 제3자 배정 유상증자는 28일 마무리됐다. 29일 공시를 보면, 한화에너지가 약 1236억원(16만3037주), 한화에너지싱가포르는 2883억원(38만419주), 한화임팩트파트너스는 8881억원(117만1584주)을 각각 투입했다. 해당 금액은 지난 3월 각 회사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한화오션 지분을 넘기고 받은 금액과 똑같다. 최근 3년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대규모 수주로 인해 장부상 부채로 잡히는 선수금이 크게 늘었다. 그러면서 부채비율도 따라서 늘었고 외부에서 재무구조 악화 신호로 해석한다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설명했다. 방산회사에서 재무건전성으로 평가하는 신용등급은 수주를 위한 핵심 지표로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무기는 10년 이상 장기 계약으로 맺기 때문에 방산회사는 안정적 신용등급을 유지해야 한다.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저리에 돈을 빌릴 수도 있다. 안병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략총괄 사장은 8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방산 영업 주체인 당사 별도 기준의 부채비율은 2024년 말 393%로 연말 기준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운전자본 증가 및 신규 수주 선수금 등 부채 증가 요인이 상존해 재무안정성 저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부채비율 관리가 필요한 시기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 맞물려 유상증자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21일 나이스신용평가는 증자가 끝나면 “연결 기준 부채비율이 281.3%에서 213.7%로 낮아져 재무안정성 지표도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부채비율은 2021년 말 181%에서 2023년 말 317%로 늘었다. 작년 말에는 한화오션 연결 편입 효과로 281%까지 낮아졌다. 다만, 부채 내용을 뜯어보면 이른바 '착한 부채'로 불리는 선수금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24년 말 기준 전체 부채 약 31조9725억원 중 선수금이 13조6479억원(42.7%)이다. 선수금은 지난해 7조3322억원에서 1.8배 늘었다. 선수금은 회계상 부채로 분류하지만, 회사가 갚아야 할 돈은 아니다. 회사가 약속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매출로 전환된다. 즉, 선수금은 다른 부채처럼 현금을 지급해야 하는 게 아니라 선수금이 사라지면서 매출로 기록되니 기업의 손익을 좋게 만든다. 오히려 회사의 단기 유동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27일 수출입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수출입은행에서 대출한 총액은 2조3199억원이다. 그중 80%가 이행성 보증(RG) 형태다. 이행성 보증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계약을 이행하지 못하면 수출입은행이 발주처에 대신 지급하겠다고 확약하는 것을 말한다. 해외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필수적인 금융이다. 일반 대출에 견줘 리스크와 이자율이 모두 낮다. 수출 관련 대출 2024억원, 수입 관련 대출 1000억원 등 실제 현금성 자금 조달은 4639억원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신용등급, 부채비율 등을 고려할 때 대출 한도는 여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신용등급은 10년째 'AA-'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한화에어로 신용공여 한도는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주 가치를 희석하는 유상증자를 택했다. 이창민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14일 열린 '한화 경영권 3세 승계,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어디에 쓸 것인지 설명이 없다"면서 “한화가 3조원을 유상증자 할 수 있다는 것은 거버넌스 차원에서 굉장히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왜냐면 자본 조달 방법에서 증자는 후순위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13일 한화오션 지분 7.3%를 약 1조3000억원에 취득했다. 이때 보유하고 있던 현금 대부분을 소진했다. 지난해 말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1조3750억원이었다. 한화오션 지분 취득을 위해 94.5%를 쓴 것이다. 그 후 갑작스레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해 주주들이 발끈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내부 자금은 그룹 계열사에 쏟아붓고, 정작 한 달 뒤에 투자자금이 부족하다고 주주에게 손을 벌린 탓이다. 설령 더 많은 투자금이 필요하더라도 금융권 차입, 회사채 발행 등 다른 방식을 택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유상증자 결정이 필요하더라도 주주를 대상으로 충분히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동성제약 “회장 독단, 마케팅회사에 지분 매각”…오너 일가 갈등설 ‘솔솔’

동성제약이 창업 68년 만에 오너 경영 체제가 사실상 막을 내렸다. 탈모 치료제 '미녹시딜', 설사약 '정로환', 염모제 '세븐에이트' 등 생활건강 제품을 주력으로 성장해온 동성제약은 이번에 이양구 회장이 본인 보유 지분을 돌연 외부 기업에 매각하면서 경영권이 넘어가게 됐다. 내부 협의 없는 독단적 결정이었다는 점에서 오너 일가 간 갈등설도 제기된다. 28일 동성제약에 따르면, 이양구 회장은 본인 보유 지분 14.12%(368만여 주)를 디지털 마케팅 업체 브랜드리팩터링에 매각했다. 매각 대금은 총 120억원, 주당 3256원으로 당시 시가(3820원) 대비 약 14.8% 낮은 가격이다. 경영권 프리미엄도 없는 조건이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회장이 독단적으로 넘긴 것"이라며 “대표 및 경영진 등 회사 측과는 전혀 협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50일 이내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브랜드리팩터링 측 이사 선임 여부와 향후 경영 참여 방향 등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지난해 2월, 창업주의 외손자이자 조카인 나원균 대표에게 일부 지분(2.9%)을 넘기며 승계 수순을 밟는 듯했지만, 1년여 만에 지분 전량을 외부에 넘기면서 기존 구도가 흔들렸다. 나 대표는 현재 회사 지분 4.1%를 보유 중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난해 조카에게 일부 지분을 넘기면서 경영권 승계 작업이 진행되는 듯했지만, 현재는 오너 일가 간 갈등설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오너 일가 간 갈등설과 함께, 동성제약의 수익성 악화도 매각 배경 중 하나로 꼽는다. 동성제약은 2024년 매출 884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손실은 65.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재무구조 건전성 강화를 위한 비용 증가와 더불어, 췌장암 항암제(Ce6-curcumin 유도체)와 대마유래 통증 치료제 등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확충, 판매비와 관리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2023년에도 매출 886억원, 영업이익 6억원 수준에 그쳤고, 2022년에는 매출 933억원에도 불구하고 약 31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최근 3년간 매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익성 역시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수자인 브랜드리팩터링은 2022년 설립된 비상장 마케팅 전문업체다. 연 매출 약 520억원 규모로, 동성제약보다 사업 체급이 작다. 퍼포먼스 마케팅과 건강기능식품 D2C(소비자 직판) 유통을 주력 사업으로 삼고 있다. 다만 동성제약과 사업 연관성은 높지 않은 상황이다. 브랜드리팩터링을 이끄는 백서현 대표는 코스닥 상장사 셀레스트라(구 클리노믹스) 대표도 겸하고 있다. 셀레스트라는 UNIST(울산과학기술원) 1호 벤처기업으로 출발했지만, 최근 외부 감사 의견 거절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여 새 최대주주의 경영 능력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본지의 취재 요청에 “답변할 수 없다"고 밝혔다. 동성제약은 앞으로 50일 이내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브랜드리팩터링 측 이사 선임 여부와 향후 경영 참여 방향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SK텔레콤, 해킹 여파에 급락…장중 4%대 하락

SK텔레콤이 해킹 사고 여파로 28일 장 초반 급락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29분 현재 SK텔레콤은 전 거래일 대비 2500원(4.33%) 내린 5만5300원에 거래 중이다. 장 초반 5만5000원까지 밀리며 하락 폭을 키우기도 했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9일 밤 해커에 의해 악성코드가 유입돼 일부 가입자의 유심(USIM) 고유식별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확인했다. 해커가 유출된 정보를 활용해 복제폰을 제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투자 심리도 악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SK텔레콤은 전 고객 2300만명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하기로 했으나, 현재 확보한 유심 재고가 약 100만개에 불과해 혼란이 예상된다. 알뜰폰 이용자 187만명도 유심 교체 대상에 포함되면서 실제 교체 대상자는 2500만명에 달한다. 정부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전날 “사고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유심 교체 및 보호 서비스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이번 사고가 최악의 경우 유심 복제를 통한 금융사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쎄크, 코스닥 상장 첫날 14%대 ‘급등’

전자빔 검사장비 전문업체 쎄크가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인 28일 강세다. 이날 오전 9시 23분 기준 쎄크는 공모가(1만5천원) 대비 14% 오른 1만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00년 설립된 쎄크의 주력 제품은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용 엑스레이 시스템, 방위산업용 엑스레이 장비, 탁상형 주사전자현미경 등이다. 작년 연결 기준 매출 539억원, 영업이익 13억원, 순이익 21억원을 기록해 흑자를 냈다. 기관투자자 수요 예측에서 경쟁률 1천232.54대 1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희망 범위(1만3천~1만5천원) 상단으로 확정했다. 이어 진행된 일반 투자자 청약은 933.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증거금은 약 2조1천억원이 모였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OCI, 제살깎아 홀딩스 이익 몰아주기…감액배당 후 OCI 전망은?

OCI가 감액배당을 진행키로 했다. 자본금이 1000억원 줄어드는 만큼 OCI로서는 재무 부담이 늘게 될 전망이다. 2023년 현물출자로 지주사에 오른 OCI홀딩스는 이번 배당으로 투자금 회수에 나섰다. OCI는 지난달 25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 1000억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자본금을 배당할 수 있는 이익으로 바꿔 '감액배당'하기 위해서다. 15.4%의 배당 소득세가 부과되는 일반 배당과 달리 감액배당은 소득세를 물지 않아 '비과세 배당'이라 불린다. 주주들이 감액 배당을 환영하는 이유다. OCI 지분 44.97%를 가진 OCI홀딩스는 약 450억원의 현금을 배당받을 전망이다. OCI는 2023년 5월 인적 분할 후 지주사 체제로 전환했다. OCI의 화학 부문을 나눠 지주회사 OCI홀딩스와 OCI로 분리했다. OCI홀딩스는 이후 OCI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던 계열사를 활용해 OCI 지분을 확보했다. OCI홀딩스는 2023년 9월 현물출자 및 공개매수 방식을 통해 OCI 지분 31.99%를 확보했다. 기존 분할 시점에 보유하던 1.26%를 포함해 OCI 지분 33.25%를 확보했다. 같은 해 5월 인적분할한 OCI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서다. 공정거래법상 지주사는 자회사에 관해 상장사의 경우 30% 이상 지분을 보유해야 한다. 같은 해 10월, OCI홀딩스는 현물출자 및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OCI 지분을 44.78%로 11% 포인트 가량 늘렸다. OCI홀딩스는 보유한 5개 법인의 주식을 OCI에 현물 출자했다. OCI가 OCI홀딩스에 보통주 155만3806주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OCI가 현물 출자하기로 한 계열사는 OCI China, OCI Japan, 오씨아이드림, Philko, 피앤오케미칼로 모두 5곳이다. OCI가 OCI홀딩스에서 5개 계열사 지분을 넘겨받은 후부터 계열사 가치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 OCI홀딩스와 OCI가 책정한 5개 계열사 장부 가치는 2023년 당시 1653억원이었다. 그러나 실제로 OCI가 OCI홀딩스로부터 5개 계열사 지분을 넘겨받았을 때인 2024년 1월 26일 가치는 전체 1440억원으로 줄었다. 2024년 말, 5개 계열사 지분 가치는 약 1224억원이다. OCI의 이번 감액 배당으로 OCI홀딩스는 현물출자했던 투자의 일부를 돌려받게 된다. 투자는 OCI 지분 11.7%를 늘리는 데 계열사 5곳 지분을 현물로 출자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 OCI는 자본 유출에 따른 재무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에 쌓아둔 현금을 배당하는 것이어서 자본과 관련된 지표가 나빠질 수 있는 탓이다. 이종헌 인성회계법인 회계사는 감액배당에 대해 “재무적으로 탄탄한 기업이 배당을 많이 하는 건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불확실성이 큰 시기는 보통 현금을 쟁여두는데, 그 상황에서 필요 수준 이상의 감액배당 한다는 건 무리한 결정으로 비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다올투자증권·다올저축은행, 신용등급 A→A- ‘하향’…NICE신평

나이스신용평가가 25일 다올투자증권과 다올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각각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양사 모두의 수익성 저하와 자산건전성 악화가 주된 이유다. 다올투자증권의 기업신용등급은 기존 A/Negative에서 A-/Stable로 하향됐으며, 단기신용등급도 A2에서 A2-로 조정됐다. 무보증 후순위사채 신용등급은 A-에서 BBB+로 낮아졌다. 신승환·이예리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다올투자증권은 투자은행(IB)과 법인영업에 특화된 소형 증권사로, 부동산금융에 대한 실적 의존도가 높다"며 “2022년 하반기 이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위축되면서 IB부문 수익이 급감했고, 시장점유율은 2022년 1.2%에서 2024년 0.4%로 크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실적도 부진했다. 회사는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자회사 매각을 통해 순이익 837억원을 냈지만, 2024년에는 -24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ROA(자산수익률)가 -0.5%까지 떨어졌다. 자본적정성 역시 악화됐다. 2024년 말 기준 순자본비율은 218.4%, 조정순자본비율은 176.7%로, 동종 소형사 평균(각각 461.5%, 286.5%)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다올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도 BBB+/Negative에서 BBB/Stable로 한 단계 하락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대손부담 지속으로 수익성이 저하됐고,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 지표가 악화된 점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다올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8.8%, 연체율(1개월이상 연체자산)은 7.8%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ROA는 0.0%로, 실질적인 수익성 회복이 이뤄지지 못했다. 부동산PF 익스포져는 자기자본 대비 93.6% 수준으로, 2022년 말 283.7%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편이다. 차주 신용등급이 열위한 점도 향후 건전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BIS자본비율은 12.8%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나신평은 “두 회사 모두 수익구조 다변화와 자산건전성, 자본적정성 개선이 이뤄질 경우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가능하다"면서도 “수익기반이 약화되거나 대손부담이 지속될 경우 추가 하향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시황] 코스피 2540선 회복…기관·외국인 ‘쌍끌이 매수’에 상승 마감

국내 증시가 관세 우려 완화와 미·중 협상 기대감 속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특히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이 대규모 순매수에 나서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3.97포인트(0.95%) 오른 2546.30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장 초반 2544.59로 출발해 꾸준히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수급을 보면 기관이 4989억원, 외국인이 2226억원을 각각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은 7728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에서는 △SK하이닉스(3.42%) △LG에너지솔루션(0.59%) △HD현대중공업(7.18%) △KB금융(2.72%)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1.05%) △현대차(-0.05%) △셀트리온(-0.19%) △기아(-0.68%)는 하락했다. 삼성전자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 역시 외국인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61포인트(0.50%) 오른 729.69에 장을 마쳤다.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783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642억원, 54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2.68%), 에코프로(1.80%), 펩트론(0.11%)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알테오젠(-5.02%), 리가켐바이오(-1.68%), 클래시스(-0.94%)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다. HLB와 파마리서치는 보합권에 머물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5.1원 오른 1437.1원에 마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특징주] 한화솔루션, 11%대 상승…1분기 흑자 전환,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웃돌아

한화솔루션이 이틀 연속 강세다.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해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9시 40분 기준, 한화솔루션은 전 거래일 대비 11.81% 오른 3만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한화솔루션은 11.27% 올랐다. 24일 한화솔루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조945억원, 영업이익 30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에 견줘 31.49% 올랐다. 영업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 영업손실 2166억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1조5992억원, 영업이익은 1362억원이다. 미국 주택용 에너지 사업이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IBK투자증권은 이날 한화솔루션의 목표 주가를 기존 3만2000원에서 3만7000원으로 높게 잡았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607억원)를 크게 웃돌았다"며 “케미칼 및 첨단소재 부문의 적자가 이어졌지만,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실적 개선이 호실적의 주요 원인이 됐다"고 투자 의견 보고서에서 설명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SKT, 카카오 지분 전량 블록딜 매각에 소폭상승…카카오는 5%대 급락

SK텔레콤이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 지분 전량을 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했다는 소식에 25일 오전 주가가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카카오는 5% 넘게 급락했다. 25일 오전 9시 18분 기준, SK텔레콤은 전 거래일 대비 400원(0.69%) 오른 5만8100원에 거래 중이다. 반면 카카오는 2100원(-5.32%) 내린 3만7350원에 거래되며 약세를 보이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공시를 통해 보유 중이던 카카오 주식 1081만8510주(총 4133억원 규모)를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전량 매각한다고 밝혔다. 이번 매각은 SK브로드밴드의 완전 자회사 편입 및 AI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위한 재원 확보 차원에서 결정된 것이다. SK텔레콤은 앞서 지난해 11월, 태광그룹과 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한 SK브로드밴드 지분 24.8%를 1조15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SK브로드밴드는 SK텔레콤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다. SK텔레콤 측은 카카오와의 협력 관계는 유지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실제로 양사는 지난 2019년 3000억원 규모의 지분을 교환하며 클라우드 및 공동 펀드 등에서 전략적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