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윤병효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윤병효 기자 입니다.
  • 기후에너지부
  • chyybh@ekn.kr

전체기사

일본, LNG 취급량 5년 연속 1억톤 넘어

일본의 액화천연가스(LNG) 취급량이 5년 연속 1억톤을 넘었다. 국내 소비량은 6000만~7000만톤 수준이지만, 자국 기업이 취급하는 물량이 소비량을 훨씬 초과함에 따라 그만큼 LNG 수급안정성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5일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 일명 조그멕에 따르면 2023년 일본의 연간 LNG 취급량은 1억313만톤을 기록해 2019년 이후 5년 연속 1억톤 이상을 기록했다. 일본의 연간 LNG 취급량은 2018년 9552만톤에서 2019년 1억468만톤, 2020년 1억1030만톤, 2021년 1억957만톤, 2022년 1억212만톤, 2023년 1억313만톤을 보였다. LNG 취급량이 중요한 이유는 LNG 수급 안정도, 즉 에너지안보가 얼마나 탄탄한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LNG 취급량은 자국 내 소비량과 외국 대 외국 거래량으로 구성된다. 외국 대 외국 거래량은 일본 기업이 해외에서 확보한 물량을 토대로 해외 판매한 물량을 뜻한다. 조그멕이 정의한 'LNG 취급량'은 일본 기업이 LNG의 조달이나 판매를 위해 매매 계약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라도 소유한 LNG의 수량을 뜻한다. 일본의 2023년 LNG 취급량을 보면 국내 소비량은 6489만톤이고, 외·외거래량은 3825만톤으로, 외외거래물량이 자국 소비량의 59%를 차지했다. 외·외거래량이 중요한 이유는 예기치 못한 전쟁, 재난 등으로 국내 수급 물량이 부족할 시 외·외거래량으로 부족한 물량을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당시 원전 가동이 멈추면서 LNG 발전용 수요가 급증했다. 하지만 확보 물량이 적어 한국에서까지 조달하는 등 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LNG는 영하 162도(℃)로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저장이 불가능하고, 국가 대 국가로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현물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일본은 이같은 에너지안보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외·외거래량을 늘리기로 하고 LNG 거래기업을 통해 이를 장려해 왔다. 현재 일본의 LNG 거래기업은 전력기업, 가스기업, 무역기업, 석유기업, 제철기업 등 총 30개사로 알려졌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LNG價 3대 상승요인 겹쳤다…한전·가스公, 재무 악화 우려

미국 천연가스(LNG)가격이 크게 오르고 여기에 국제유가와 환율까지 상승하면서 에너지 수입비용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부는 국제가격을 국내요금에 반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 한전과 가스공사의 재무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국제에너지 시장에 따르면 현재 미국 헨리허브 천연가스 거래가격은 MMBtu당 4.227달러로 전날보다 6% 올랐다. 헨리허브 가스가격이 4달러를 넘기는 2023년 1월 이후 2년 만이다. 다만 유럽과 아시아 천연가스 현물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천연가스 가격 급등은 향후 2주동안 추운 겨울날씨가 예고되면서 가스 수요가 크게 늘 것이란 전망과 미국의 천연가스 수출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에너지정보청에 따르면 LNG 수출량은 2020년 238만6944mcf(Million cubic feet), 2021년 356만818mcf, 2022년 386만5643mcf, 2023년 434만3027mcf로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수출량은 약 357만4000mcf로, 전년 동기간보다 45mcf 증가했다. 13일 유럽 대표 유종인 브렌트유(Brent) 가격은 배럴당 81.01달러로 전날보다 1.57% 올랐다. 지난해 8월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국제유가는 미국의 러시아 원유 수출 추가 제재와 중국의 강력한 경기부양책으로 인한 수요 증가 영향으로 분석된다. 다음 주 퇴임을 앞두고 있는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 석유기업 200곳과 러시아산 석유 운반선 183척을 제재 대상에 포함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러시아산 석유를 공급받던 중국과 인도도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달러 환율은 13일 13시 기준으로 1471.6원을 기록했다. 가뜩이나 약세이던 원화 가치는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급등해 12월 31일 1477원까지 올랐다가 이후 이달 7일 1454.5원으로 다소 완화됐으나, 불안정한 정세가 계속되면서 현재는 1470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가스 가격과 국제유가 상승, 환율 상승은 모두 우리나라의 LNG 수입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우리나라 LNG 수입은 주로 카타르, 호주, 미국 등지에서 수입하는데 미국을 제외한 지역의 수입가격은 브렌트 유가에 연동되고, 미국 수입가격은 현지 가격에 연동된다. 따라서 국제유가와 미국 가스가격 상승은 국내 LNG 도입단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환율까지 오르면 그 폭만큼 수입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LNG 도입단가 상승은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과 가스공사의 재무상태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가스공사는 우리나라 LNG 도입량의 80%를 맡고 있는데, 2022~2024년 동안 국제가격이 크게 올랐음에도 그에 따른 국내 요금을 거의 올리지 못하면서 추후에 가격이 안정됐을 때 요금에서 받기로 한 미수금이 14조원이나 쌓여있다. 이로 인해 현재 가스공사는 총부채 42조원, 부채율 402%를 보이고 있다. LNG 도입단가 상승은 발전단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발전단가가 오르면 한전의 전력구매비용이 증가하게 되지만, 정부와 정치권은 물가안정을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을 최대한 막고 있다. 이로 인해 한전은 2021~2023년까지 총 43조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현재 총부채는 204조원, 부채율은 514%를 보이고 있다. 에너지 한 전문가는 “LNG 도입단가를 요금에 즉시 반영하지 않으면 그에 따른 부담을 공기업이 지어야 하므로 쓸데없는 금융비용이 발생하고, 소비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에 도입단가를 요금에 즉시 반영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더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데스크칼럼] 미-중 ‘희토류戰’ 임박, 한국은 대비하고 있나

전 세계가, 특히 힘이 센 나라일 수록 이 광물을 확보하지 못해 안달이 났다. 바로 희토류이다.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란 주기율표 제 3A족인 스칸듐(Sc, 원자번호 21), 이트륨(Y, 39)과 원자번호 57 (란타늄)에서 71(루테튬)까지의 란탄계열 원소 15개를 더한 17개의 원소를 총칭한다. 희토류는 주로 첨단산업에 사용되는데 아주 적게만 사용해도 월등히 높은 성능효과를 얻을 수 있어 마법의 광물로도 불린다. 예를 들어 전기차의 필수부품인 배터리와 모터에는 모두 희토류가 사용된다. 특히 모터의 핵심부품인 영구자석에는 희토류의 한 종류인 네오디뮴(Nd)이 사용되는데 일반 자석과는 확연한 성능 차이를 발휘한다. 네오디늄만 보더라도 현재 전기차 침투율이 채 20%가 안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양의 네오디늄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다. 최근 희토류가 이슈의 중심이 되고 있다. 오는 20일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덴마크령인 그린란드를 무력을 써서라도 자국으로 편입하고 싶다는 의견을 밝혀 유럽을 발칵 뒤집어 놨다. 그린란드는 러시아와 가깝고 많은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어 전략적 가치가 높지만, 트럼프가 진짜로 노리는 것은 많은 양의 희토류 매장량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광해광업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나라별 희토류 매장량 순위를 보면 중국 4400만톤, 베트남 2200만톤, 브라질 2100만톤, 러시아 1000만톤, 인도 690만톤, 호주 570만톤, 미국 180만톤이며, 그 다음 8번째로 그린란드 150만톤이다. 전 세계 총 매장량은 총 1억1000만톤이다. 매장량만 보면 각 지역에 골고루 분포돼 있어 미국이 그리 안달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실제 생산량을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2023년 기준 나라별 생산량은 총 35만톤 가운데 중국이 24만톤으로 68.6%를 차지했고, 이어 미국 4만3000톤, 미얀마 3만8000톤, 호주 1만8000톤, 태국 7100톤, 인도 2900톤 등이다. 희토류 생산비중이 중국으로 쏠린 이유는 가공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황산이 사용되는데, 황산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중국은 환경오염을 무릅쓰고 값싸고 고품질의 희토류를 대량으로 생산해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며, 이를 자원무기로까지 활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이 그린란드를 희토류 생산기지로 만들려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희토류 자원무기 파괴력은 엄청나다. 지난 2010년 중국과 일본이 댜오위다오(센카쿠열도)를 두고 영토분쟁을 벌일 때, 중국이 꺼낸 회심의 카드가 희토류 수출 중단이었다. 이 카드를 꺼내자 일본은 곧바로 꼬리를 내렸고, 지금까지 그곳의 영토분쟁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현재, 미국의 트럼프 당선인이 1기 집권때처럼 중국과 또 다시 무역전쟁을 일으키려고 시동을 걸자 중국이 다시 희토류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다. 지난해 12월 초 중국 상무부는 미국에 반도체 같은 첨단산업과 무기에 사용되는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흑연, 초경질 소재(Superhard Material)의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일종의 경고성 사격이다. 트럼프가 실제로 대중 무역전쟁을 벌인다면 중국이 내놓을 회심의 카드는 희토류 수출 중단이 될 게 뻔하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과 희토류 전쟁은 두 나라를 최대 무역국가로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줄 수 있다. 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3년 희토류(반제품 또는 완제품) 수입량 309만톤 가운데 중국 수입량은 193만톤으로 62.5%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희토류 전쟁에 얼마나 대비하고 있을까? 전혀 충분치 못한 상태다. 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3년 희토류(반제품 또는 완제품) 수입량 309만톤 가운데 중국 수입량은 193만톤으로 62.5%를 차지했다. 희토류 자체 생산량도 없다. 우리나라는 희토류 4개 광산에서 4700만톤의 매장량을 갖고 있지만 모두 폐광 상태다. 광해광업공단이 희토류 해외 확보 목적으로 중국의 희토류 생산법인 지분을 갖고 있지만, 현재 이 법인은 사실상 폐업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희토류를 핵심광물로 지정하고 수급 위기 사태에 대비해 광해광업공단을 통해 비축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보다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심각하게 돌아가는 글로벌 자원무기화 동향을 꼼꼼히 체크하고 그에 대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짜야 할 광해광업공단의 수장이 몇 달째 공석이다. 최종후보 3인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올라 간 만큼 신속히 임명이 이뤄져 대비책이 마련되도록 해야 한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월성원전 액체폐기물 29톤 해양 누출…“방사능 미미한 수준”

월성원전 2호기에서 방사능 액체폐기물 약 29톤이 해양으로 무단 누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월성원전 측은 방사능이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혔으며, 원안위는 곧바로 전문가를 파견해 조사에 착수했다. 12일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본부장 정원호)는 이날 오전 10시 5분경 정상운전 중인 월성2호기(가압중수로형 70만㎾급) 저농도 방사성물질 저장탱크에서 감시되지 않은 상태로 액체폐기물이 배출된 것을 확인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지역사무소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누출량은 약 29톤이다. 원안위에 따르면 월성본부는 이날 오전 액체폐기물을 해양으로 배출하기 위한 준비 과정(시료분석을 위한 교반작업)에서 탱크 배출구의 밸브가 열려 있는 것을 확인하고 즉시 밸브를 닫아 누설차단 조치를 취했다. 이후 탱크에 남아 있는 시료를 분석한 결과 농도는 삼중수소 3.79×108Bq/m3, 감마핵종 1.219×104Bq/m3이며, 배출된 추정 방사능은 삼중수소 1.116×1010Bq, 감마핵종 3.589×105Bq로 평상시 배출 수준으로 파악됐다. 이는 연간 배출제한치 대비 삼중수소는 10만분의 1(0.001%) 수준, 감마핵종은 100만분의 6(0.0006%)에 해당하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월성본부는 설명했다. 또한 이번 누설로 인한 주민유효선량은 연간 6.97×10-8mSv로, 평상 시와 유사한 값이다. 월성본부는 해양환경시료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시할 예정이다. 월성본부 측은 “추가적인 액체방사성 물질의 배출은 없으며, 현재 발전소는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월성본부는 상세 원인을 점검한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는 10시 23분 경 한수원으로부터 월성원전 액체폐기물 무단 누출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한수원의 보고 직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를 파견해 정확한 누설량, 누설 원인 등을 조사 중에 있으며, 또한 원전 인근 바닷물을 채취해 환경 영향을 정밀하게 확인할 계획이다. 원안위는 향후 구체적인 환경 영향 평가결과와 안전조치의 적절성 등을 조사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본지는 지난 2024년 11월 17일(지면 11월 18일자) '[이슈분석] 논란 많은 태안안면클린에너지, 경영권 꼼수 이전에 전기위 심사결과 주목' 제목으로 “A씨는 구속 수사를 받다가 최근 보석으로 풀려났으며 사모펀드 대표이사에서도 사임했다. 하지만 검찰은 여전히 A씨가 사모펀드의 실질적인 대표이사로 보고 있다." “이에 TACE 측은 A씨에서 다른 인물로 대표를 바꿨으나 바뀐 대표도 조세포탈 혐의로 검찰에 구속수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에서는 A씨의 횡령건과 바뀐 대표의 조세포탈 혐의를 병합 심리할 예정이다"라는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또한 지난 2024년 12월 24일 '태안안면클린에너지, 횡령 혐의 최대주주 '우려' 씻었다' 기사에서 “A씨는 최근 보석으로 석방됐으며 사모펀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으나, 검찰은 여전히 그를 실질적 경영자로 판단하고 있다. 새로 선임한 대표 역시 조세포탈 혐의로 구속된 상태며, 법원은 두 사건을 함께 심리할 예정이다"라는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사실 확인 결과 A씨는 사모펀드의 대표이사로 재직한 사실이 없고, 사모펀드의 업무를 관장하는 무한책임사원에는 법인이 선임돼 있으며, 무한책임사원인 법인의 대표는 조세포탈 혐의를 받거나 구속수감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바 이를 정정합니다.

대왕고래, 이달 20일경 시추 목표심도 도달…결과는 몇달 소요

경북 포항 앞바다에서 약 40㎞ 떨어진 심해에 매장된 석유와 가스를 찾는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착착 진행되고 있다. 2주일 후 시추 목표 심도에 도달할 예정이며, 여기에서 채취된 물질을 검사한 1차 탐사 결과는 상반기 내 나올 예정이다. 7일 자원개발업계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가 진행하고 있는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지난달 20일 첫 탐사시추에 착수한 가운데 한달 만인 이달 20일경에 목표 심도에 도달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탐사시추가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달 20일경에는 목표심도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대륙붕에 있는 동해가스전과 달리 심해를 시추하는 것이라서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다. 이번 심도는 수심 약 1.2㎞와 해저면 아래 약 1.8㎞ 등 총 약 3㎞이다. 시추선인 시드릴사의 웨스트 카펠라호는 웬만한 파고에도 선체 흔들림 없이 최대 3㎞ 수심에서 최대 11.4㎞까지 시추가 가능한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어 대왕고래 시추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총 시추작업은 약 40~50일 소요될 예정이다. 소요기간이 긴 이유는 시추 과정에서 수직 굴이 무너지지 않도록 중간중간에 벽면에 계속 시멘팅 작업을 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추 굴은 약 90cm 지름으로 시작하지만 내려갈수록 크기는 점점 작아지게 된다. 또한 상부구간 굴착이 완료되면 해저면에 혹시 모를 누출을 방지하는 방폭장비(BOP)도 설치한다. 2010년 미국 멕시코만에서 역사상 최악의 원유 유출사고로 기록된 BP의 딥워터 호라이즌호 사고도 방폭장비 불량으로 발생했다. 첫 시추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몇 달이 소요되며, 늦어도 상반기 내에는 나올 예정이다. 시추 결과물에 대한 분석 작업은 석유공사와 계약을 맺은 세계적 유전서비스 기업인 슐럼버거가 맡고 있다. 슐럼버거는 시추 과정에서 채취한 암편을 분석해 지층의 종류, 밀도, 구성 광물, 미화석(microfossils)을 통한 지질 연대 등을 파악하고, 석유와 가스 부존 여부도 파악한다. 이 분석을 통해 저류층을 평가하고, 잠재적으로 생산 가능한 심도까지 확인한다. 첫 시추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면 정확한 매장량을 파악하는 평가시추 단계로 들어가고, 그렇지 못하면 또 다른 탐사시추를 해야 한다. 첫 시추결과물을 토대로 외부 투자를 받는 작업도 진행된다.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위치한 울릉분지의 탐사자원량은 약 35억~140억배럴이다. 이는 2004년부터 2021년까지 운영된 동해가스전의 총 생산량이 4500만배럴인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양임을 알 수 있다. 대왕고래는 개발에 성공할 시 경제적 효과는 최대 2000조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시추비용은 1공당 약 1000억원이 소요된다. 이번 1차 시추비용은 석유공사 505억원, 정부 505억원을 조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국회 예산심의에서 야당이 505억원 중 497억원을 삭감하면서 시추비 확보에 빨간불이 들어 온 상황이다. 예산 삭감을 주도한 더불어민주당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빠른 추경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시추비도 포함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해외자원개발 포기하나…정부지원금 10년만에 96% 감소

해외자원개발 정부지원금이 10년만에 370억원대에서 10억원대로 대폭 축소됐다. 신규사업 건수도 10건 이상에서 2건으로 거의 줄었고, 종료사업만 늘었다. 우리나라는 광물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해외자원개발이 필수적인데도 정부와 정치권이 이를 너무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한국광해광업공단 '2024 광업요람'에 따르면 정부가 해외자원개발을 위해 지원한 재정금은 2014년 378억원에서 2023년 14억원으로 364억원(약 96%) 감소했다. 해외자원개발 정부지원금에는 보조지원과 융자지원이 있는데 보조지원금은 78억원에서 14억원으로 줄었고, 융자지원금은 300억원에서 0원으로 줄었다. 보조지원은 기초탐사 등에 광해광업공단 등 공공기관 차원에서 서비스 등으로 지원하는 금액이고, 융자지원은 사업자에게 정부 자금을 대출해주는 금액이다. 융자지원은 2014년 300억원에서 2015년 25억원, 2018년 13억원, 2019년 10억원으로 줄더니 2020년부터는 아예 지원이 이뤄지지 않았다. 신규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2014년 16건에서 2015년 6건, 2019년 3건으로 줄었고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각 2건밖에 없다. 반면 종료사업은 2014년 9건에서 2015년 17건, 2017년 18건, 2019년 11건, 2021년 12건, 2023년 4건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누적 해외자원개발사업 건수는 2014년 349건에서 2023년 287건으로 10년동안 62건(17.8%) 감소했다. 우리나라는 대규모의 자원을 소모하는 제조업 중심 국가이면서도 대부분의 자원을 해외에서 수입해 조달하는 자원빈국이다. 이 때문에 해외자원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 기업들이 국내외에서 확보한 자원을 통해 국내 수요만큼 공급할 수 있는 정도를 자원개발률이라고 한다. 2023년 기준 6대 전략광물의 자원개발률은 유연탄이 44%로 가장 높고, 철광 36.6%, 동(구리) 11.5%, 아연 23.4%, 니켈 43.3%이며 우라늄은 제로이다. 전체 평균은 33.9%. 이는 우리와 자원 환경이 비슷한 일본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한국경제인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일본의 6대 전략광물 자원개발률은 76% 수준이다. 이처럼 국내 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진출이 현저히 줄어든 것은 자원공기업의 해외 사업을 제한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명박 정권에서 자원개발이 실패하자 이후 박근혜 정권과 문재인 정권에서는 그 대책의 일환으로 자원공기업의 해외사업을 사실상 차단하고 민간기업만 나서도록 했다. 하지만 맏형 노릇을 하던 자원공기업의 역할이 제한되자 민간 기업들까지 신규 사업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자원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정부 융자지원액이 0원인 것은 정부가 예산 책정을 안 한 것이 아니라, 민간 기업들이 신청을 안해서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예전에는 자원공기업이 주도해서 민간 기업들과 함께 해외사업에 많이 진출했는데, 이제는 그 방식이 끊긴 상황이다. 일본도 조그멕(JOGMEC)이라는 에너지자원 공공기관을 통해 해외자원개발에 나서 듯, 우리나라도 자원공기업 재무 문제 해결을 통해 해외사업에 다시 나설 수 있도록 역할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전기차 힘 싣는 삼천리…‘움직이는 ESS’로 에너지 신사업 나서나

삼천리그룹이 전기차 사업을 영위하는 신설법인 삼천리EV에 수입차 전문가를 영입하며 전기차 사업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종합 에너지기업 삼천리는 향후 전기차를 통해 다양한 에너지 신사업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3일 삼천리그룹에 따르면 전기차 판매 법인 삼천리EV는 김용욱 대표를 신규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이에 따라 김용욱 대표는 손원현 대표와 공동 체제로 경영을 맡을 예정이다. 삼천리EV는 지난해 7월 설립된 전기차 판매 전문 법인이다. 중국 대표 전기차 기업이자 세계 판매 1위를 넘보는 비와이디(BYD)의 차량을 판매할 예정이다. 김용욱 대표는 1990년부터 13년간 ㈜효성물산 자동차 사업부에서 메르세데스벤츠 딜러권 획득 및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이후 17년간 바바리안모터스, 태안모터스의 영업지점장 및 영업총괄 업무를 맡으며, 2020년부터는 포드코리아 공식딜러인 더파크 모터스의 사장을 역임한 수입차 사업분야 경력 35년의 전문가이다. 손 대표는 현재 삼천리그룹의 BMW 딜러사인 삼천리모터스의 대표를 겸임하고 있다. 이전에는 삼천리에서 미래전략본부장, 대외협력본부장, 전략본부장, 개발본부장, 기획본부장을 역임했다. 수입차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김 대표와 그룹 통이자 기획 통인 손 대표가 최고경영진을 구성함에 따라 그만큼 삼천리그룹의 전기차 시장 공략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삼천리는 도시가스, 집단에너지, 수소연료전지, 발전,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천리가 전기차를 이용해 에너지 신사업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에너지 신사업으로는 수요관리(DR)가 있다. 수요관리 사업은 전력이 남아 돌 때 이를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했다가 모자랄 때 ESS 전력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전력수급 균형을 맞추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전력생산이 간헐적인 재생에너지 발전이 늘어날 수록 필요성이 커진다.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차는 훌륭한 ESS이다. 전기차의 전력 충전과 방전 방식을 이용해 수요관리 사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전기차 충전사업까지 활용하면 더욱 시너지를 올릴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총 등록차량 2600만대 가운데 전기차는 67만대에 불과하다. 그만큼 전기차 보급 여지가 크다. 삼천리는 일단 전기차 판매사업을 진행하고 전기차 보급이 어느 정도 확대되면 발전사업을 통한 충전사업과 함께 수요관리사업까지 진출할 수 있다. 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전기차를 통한 수요관리사업은 할 수는 있지만, 현재 전기요금 수준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며 “삼천리의 전기차 수요관리 사업도 전기요금 수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자원안보 힘’ 갈수록 약화…가행광산 10년간 1313개 문 닫아

우리나라의 자원안보의 힘을 높이는 자원 수급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가행광산 수가 10년전보다 22%나 감소했다. 다만 높은 가치가 인정받고 있는 텅스텐, 몰리브덴 광산의 종업원 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광해광업공단의 '2024 광업요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등록광구 수는 2013년 5269개에서 2023년 3956개로 1313개(24.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운영 중인 가행광산 수는 414개에서 322개로 92개(22.2%) 감소했다. 그만큼 우리나라 자체적인 자원 수급력이 약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광업계 종업원 수도 급격히 줄고 있다. 종업원 수는 2021년 5589명에서 2023년 5088명으로 501명(약 9%)이 줄었다. 같은 기간 금속광산 종업원 수는 394명에서 352명으로 42명(10.7%)줄었고, 비금속광산 종업원 수는 3569명에서 3484명으로 85명(2.4%) 줄었다. 다만 텅스텐광산 종업원 수는 2021년 3명에서 2023년 22명으로 늘었고, 몰리브덴광산 종업원 수도 2021년 62명에서 2023년 72명으로 늘었다. 텅스텐은 공구강이나 군 무기로 사용되는 초경합금의 원료로, 매장량과 생산량이 중국에 쏠려 있어 매우 중요한 핵심광물로 분류된다. 텅스텐의 국가별 매장량을 보면 중국 230만톤(비중 52.2%), 호주 57만톤(12.9%), 러시아 40만톤(9.1%), 베트남 7만4000톤(1.7%) 등이다. 텅스텐 생산량은 2023년 기준 총 7만8000톤 가운데 중국이 6만3000톤으로 80.8%를 차지했고 이어 베트남 3500톤, 러시아 2000톤, 북한 1700톤, 볼리비아 1500톤 등이다. 몰리브덴도 철계 합금용으로 많이 쓰이며, 반도체나 윤활제, 의학용으로도 사용된다. 석탄광산 종업원 수는 석탄공사 소속이 2003년 3255명에서 2023년 892명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민영탄광 소속원이 3347명에서 728명으로 줄었다. 국내 금속자원 생산량도 갈수록 줄고 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 생산량은 3864톤에서 481톤으로 감소 △아연 생산량은 8213톤에서 1615톤으로 감소 △티타늄 생산량은 29만5987톤에서 20만213톤으로 감소 △금 생산량은 181kg에서 42kg으로 감소 △은 생산량도 5242kg에서 2322kg으로 감소했다. 인상흑연 생산량은 2019년 302톤에서 2021년 1만485톤으로 크게 증가했다가 2023년에는 전혀 생산되지 않았다. 반면 △철은 34만2345톤에서 50만3647톤으로 증가 △몰리브덴 생산량도 494톤에서 628톤으로 증가 △황철석 생산량 역시 36톤에서 53톤으로 증가했다. 광산업체는 규모가 작을수록 근로일수가 많고 임금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5~9인 규모는 근로일수 21.5일, 임금 약 387만원 △10~29인 규모는 근로일수 20.5일, 임금 약 420만원 △30~99인 규모는 근로일수 20.4일, 임금 482만원으로 조사됐다. 2023년 4분기 기준 광업 종사자들의 월평균 임금액은 석탄·원유·천연가스광업 약 537만원, 금속광업 약 472만원, 비금속광업 약 432만원, 광업지원서비스업 578만원으로 전체 평균은 454만원으로 나타났다. 금속광산 수는 총 233개로, △금 95개로 가장 많고 이어 △철(티탄철) 31개 △연·아연 30개 △동 27개 △텅스텐 17개 △은 13개 △사금 9개 △몰리브덴 5개 △망간 2개 △주석 2개 △안티몬 1개 △희토류 1개로 나타났다. 매장량은 △철 5468만톤(가채매장량 4416만톤)으로 가장 많고 이어 △희토류 2597만톤(2018만톤) △연·아연 1698만톤(1345만톤) △텅스텐 1537만톤(1190만톤) △은 790만톤(617만톤) △몰리브덴 615만톤(491만톤) △금 592만톤(452만톤) △동 228만톤(165만톤) △주석 44만톤(31만톤) △망간 36만톤(25만톤) △안티몬 2만톤(2만톤) △사금 2857kg(2000kg)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이 매장량은 순수 금속자원이 아닌 광석 기준임을 감안해야 한다. 예를 들어 텅스텐 매장량은 1537만톤인데, 품위 0.54%를 감안하면 매장량은 8만2998톤이 된다. 캐나다 자본이 지배하는 알몬티대한중석은 강원도 영월에 있는 상동광산에서 텅스텐 생산에 착수했다. 윤병효 기자 chyyb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