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에너지경제

ekn@ekn.kr

에너지경제기자 기사모음




[에너지포럼2020=기조연설] 도경환 전 대사 "에너지자립섬 등 국가별 맞춤형 협력 전략 펼쳐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8.31 09:35

[기조연설=신남방국가와 에너지자원 협력방안] / 도경환 전 주말레이시아 대사

▲도경환 전 주말레이시아 대사가 28일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열린 에너지포럼2020에서 ‘신남방국가와 에너지자원 협력방안’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도경환 전 주말레이시아 대사는 28일 "신남방국가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에너지 공급이 아닌 수입과 관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소비국의 의미가 크다"며 "특성이 크게 다른 권역 내 국가별 맞춤형 협력전략을 통해 태양광, 원자력, 천연가스 등 발전프로젝트를 활발하게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 전 대사는 이날 서울 ‘호텔 삼정’에서 열린 ‘제3회 에너지포럼 2020’에 참석, ‘신남방국가와 에너지자원 협력방안’ 주제의 기조강연을 통해 "아세안 국가들은 대부분 적도부근에 위치해 강렬한 태양이 넘치도록 쏟아지는 지역이고 지구상에서 가장 섬이 많은 지역 중 하나로 이 두 가지 특징을 결합하면 우리나라에서 추진되는 에너지자립섬 사업의 기회가 많은 곳"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도 전 대사의 주요 기조강연 내용이다.

신남방국가가 한국에 기대하는 것은 단순한 공산품 수입이나 기술 습득이 아니라 국가 에너지를 극대화시킨 노하우다.

신남방국가는 인구 6억4000만명, 인도와 합하면 20억명이 넘는다. 평균 연령은 30세에 지나지 않아 2030년이 되면 세계중산층 소비의 59%가 해당 지역에서 나올 것이다.

아세안 연합 10개 국가를 보면 1인당 GDP가 국가 간 최대 50배가 차이 난다. GDP성장률은 7~8%인 나라가 있는 반면 마이너스인 나라도 있다. 임금이 저렴하다고 하지만 모든 신남방국가가 그렇지는 않다. 따라서 신남방국가 전체를 한 단위로 보고서는 정책이 나오기 힘들다.

국가별 주력 제조업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싱가폴, 말레이시아는 인건비가 높고 상대적으로 기술 인력이 풍부한 자본집약적 산업이 형성됐다. 반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인건비가 저렴한 노동집약적 산업의 비중이 크다. 그러나 인건비가 저렴한 노동집약적 나라도 자본집약적 산업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4차 산업혁명 단계로 진입하고 싶어 한다. 

이는 신남방국가에 대한 산업협력이 저렴한 인건비를 내세운 노동집약산업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말한다. 고급 인적 에너지 양성을 통한 4차 산업 협력으로 바로 발전하면 해당 국가들도 한국의 정책에 반응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별 특색을 활용한 창업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 예를 들면, 창업 분위기가 자유롭고 비용이 저렴한 태국에서 창업해서 기업투자 여건이 우수한 싱가포르에서 투자를 유치하고 IT인프라와 에너지 공급여건이 우수한 말레이시아에서 사업 기반을 공고히 한 후 인구 3억에 가까운 거대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서 본격적인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신남방국가와 에너지 협력으로 들어가면, 에너지 분야는 정부의 신남방대책 발표 당시 4대 중점 협력분야로 선정됐다. 그런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를 제외하고는 에너지 천연자원이 풍족하지 않은 실정이다. 오히려 대부분의 국가들이 에너지 순수입국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석유와 가스의 소비가 크다. 반면 발전 단계가 낮은 국가일수록 수력과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의 소비 비중이 높다.

한국과 신남방국가 간 에너지 수출입을 보면, 우리나라는 인도네시아에서 석유, 천연가스, 석탄을 수입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천연가스를 수입하지만 석탄을 제외하고는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반대로 신남방국가는 수입제품 중 1~2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우리나라가 정제한 석유제품이다. 이를 통해 신남방국가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에너지 공급이 아닌 수입과 관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소비국의 의미가 크다.

에너지 가격도 국가별 차이가 있다. 말레이시아는 석유, 가스, 전력 요금이 다른 나라에 비해 저렴해서 에너지 다소비 업종이 진출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특히 사라왁 지역은 천연가스와 수력이 풍부해 전기요금도 우리나라보다 저렴하다. 이를 활용해 석유화학산업과 태양광 사업 등 대규모 현지 기업을 인수해서 성공을 거둔 국내 기업도 있다.

▲도 전 대사는 아세안 국가의 특성을 살려 우리나라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에너지 사업을 총 다섯가지 분야로 분류했다.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을 진행할 수 있는 에너지 사업은 크게 다섯 가지 분야로 묶을 수 있다.

첫째, 해당 지역에 부존 된 화석연료의 개발과 사용에 관한 인프라 투자. 실제로 우리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서 해당 수력, 화력 발전소 건립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아세안 국가간 전력망을 연계하는 사업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도 장기간 진행되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의 참여가 기대되는 분야다.

둘째, 아세안은 2030년까지 LNG인프라와 청정석탄 발전 기술에 수십 조원의 투자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인프라 사업은 물론 천연가스 교역 구조의 문제점 개선과 청정 석탄기술 개발 문제 등 국제적인 상호 협의와 협조가 필요하다.

셋째, 아세안 국가도 온실가스 감축, 미래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를 위해 태양광, 수력, 바이오에너지 등 재생에너지에 관심이 많다. 대부분 적도 부근에 위치한 아세안 국가는 지구에서 가장 강한 태양광이 있고 지구상에서 섬이 가장 많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를 합하면 총 2500개가 넘는 섬이 있다. 태양광과 섬, 이 특징을 연결한 것이 에너지아일랜드(에너지자립섬) 사업이 가능하다.

넷째, 우리나라의 에너지자립섬사업은 태양광설비 가격에 비해 태양광 여건이 좋지 않아 크게 진전이 없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아세안이 최적이 입지다. 한국은 말레이시아의 수백개 섬 중에서 전력수요가 많고 자연재해가 적은 4개의 후보 도서를 발굴해 타당성 조사가 들어갔다. 현재는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의 태양광 관련 업체에서 꾸준히 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향후 대규모 투자 사업으로 발전하도록 진행 중이다. 아울러 아세안은 에너지 효율과 절약에 관심을 갖고, 에너지효율 평가기준이나 녹색건물 표준 가이드라인 등을 우리와 협력하길 원하고 있다.

다섯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국가들도 고갈중인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신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자력 도입 문제를 고민해왔다. 다만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도입에 대한 의사가 줄었지만 베트남이 2035년을 목표로 원전을 재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