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기자

youns@ekn.kr

김연숙 기자기자 기사모음




[EE칼럼] 낮은 현물 가격과 2020년 국제 LNG 시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0.01.15 12:21

한국가스공사 한원희 책임연구원

한원희_사진_2016-1



온화한 동절기를 지나고 있는 시점에서 국제 LNG 시장의 동절기 현물 LNG 가격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호주, 러시아, 미국 등의 신규 LNG 프로젝트들이 단계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LNG 공급 능력이 급증한 반면 2017년부터 석탄에서 천연가스로의 대체를 추진하면서 세계 LNG 수요를 견인했던 중국의 수요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국제 LNG 시장의 초과 공급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아시아 지역에서 소화되지 못한 잉여 물량이 유입되면서 유럽의 LNG 수입량이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럽 현물 LNG 가격이 한때 $3/MMBtu대까지 급락하였다.

2020년에도 세계 경기의 하방 압력이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의 신규 LNG 수출 프로젝트들이 가동됨에 따라 국제 LNG 시장의 초과 공급 상황이 심화되어 현물 LNG 가격이 사상 최저치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2020년에는 이러한 낮은 현물 LNG 가격 지속이 국제 LNG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수요 측면에서는 향후 세계 LNG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 아시아 국가들에서 낮은 현물 LNG 가격 지속으로 인한 수요량이 얼마나 증가할 수 있을 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7년부터 청정대기정책 3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세계 2위의 LNG 수입국으로 발돋움한 중국은 2017~2018년 현물 LNG 가격의 급등을 초래했었다. 2018년 동절기 이후 석탄 사용을 일부 허용하면서 정책 시행 속도를 조절해왔던 중국은 올해 계획 마지막 연차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 마찰 여파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지난해 말부터 개시한 러시아산 PNG 수입 등으로 LNG 수요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또한 비록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가격에 민감한 인도는 최근 몇 년간 LNG 수요 증가세가 당초 기대만큼 실현되지 않았지만, 금년부터 LNG 인수기지 및 배관 증설로 인프라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인도의 LNG 수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급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미국산 LNG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목적지 제한이 없는 자율처분권 및 액화설비이용료를 지불하는 대신 인수취소권을 갖고 있는 미국산 LNG가 국제 LNG 현물 가격의 하한을 지지하는 밸런싱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중장기적으로는 2020년대 중반 이후의 국제 LNG 시장의 수급 상황과 시장 가격의 한 편을 결정할 신규 LNG 프로젝트들에 대한 최종투자결정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신규 LNG 프로젝트 증설에 관한 최종투자결정은 사상 최대치(연간 7천만톤) 기록하였는데 2020년에도 카타르, 미국, 모잠비크 등에서 연간 5천만톤 규모 이상이 최종투자결정을 앞두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국제 유가가 이란 사태와 같은 지정학적 요인, OPEC+의 감산 정책, 북미 셰일오일 생산 증가 등으로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낮은 현물 LNG 가격의 지속은 현재 유가 연동 장기 계약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의 LNG 계약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아시아 대형 LNG 구매자들은 미국산 LNG 계약을 통해 일정 부분 유연한 도입 계약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바 있다.

특히 대규모 수요처인 일본과 한국에서는 2020년대 중반 이후 만료되는 기존 장기 계약의 갱신을 앞두고 있는데, 이들 국가들의 LNG 구매자들에게는 에너지전환 및 시장 경쟁 정책으로 인한 수요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가격 경쟁력의 중요성이 점증하고 있기 때문에 구매자 시장인 최근 국제 LNG 시장을 활용하여 신규 LNG 계약 체결 시에 다양한 변화들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국제 LNG 시장의 중장기적인 글로벌 상품시장으로의 진전을 가늠할 수 있는 신규 LNG 계약의 경우 장단기 계약 비중 및 기간, 연동 가격 지수, 물량 유연성 등의 변화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기존 장기 계약들의 경우에도 가격재협상을 통한 계약 조건 개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