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6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송진우 기자

sjw@ekn.kr

송진우 기자기자 기사모음




현대重, 창립 후 첫 SOS…정부에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9.01.22 13:11

'가동중단' 해양사업부 인력, 정부에 고용유지지원금 요청
올해 상반기까지 약 600명 대상으로 지급될 듯

2018103102109932052017[1]

[에너지경제신문 송진우 기자] 현대중공업이 1973년 회사 창립 이후 처음으로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울산에 본사가 들어선 지 47년 만이다.

그동안 글로벌 저성장 기조, 악화된 시황 속 국내 조선업계 맏형으로서 꿋꿋이 버텨왔던 현대중공업이 최근 정부에 도움을 요청하면서 우리나라 조선업 ‘빅3’ 업체가 모두 홀로서기에 실패하게 됐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이달부터 정부에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한다. 지난해 8월 해양플랜트 물량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사업부 전체 인력에 대한 유급 휴직이 불가피해서다. 대상 인원은 약 600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지원 요청은 올해 상반기(1~6월)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께 정부에서 울산 동구, 경남 창원시 진해구, 경남 거제시와 통영시 등지에 시행된 조선업 특별고용업종 지정을 6개월 연장키로 결정, 신청 요건이 마련됐다. 유급휴직은 1개월 단위로 이뤄지고 이 기간 동안 직원은 평균 임금의 70% 정도를 받을 수 있다.

현대중공업이 정부에 지원금을 요청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73년 창립된 이후 국내 조선업계에서 줄곧 맏형 자리를 유지했던 현대중공업은 1983년 ‘세계 1위’ 위치에 오른 이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정상의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8년 전인 2011년 매출 22조 4052억 원, 영업이익 3조 4394억 원이란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3년 동안 시황 악화에 따른 ‘수주 절벽’ 여파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현대중공업은 2017년 7월 군산조선소 가동을 중단한 데 이어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그룹 내 조선 3사에 나란히 순환휴직을 시행했다. 일감 부족으로 전 사업 부문에서 휴업 및 휴직이 본격화됐던 때였다.

일부 도크가 가동 중단됐던 현대중공업은 정부지원금 카드까지 만지작거렸지만 조건 불충족, 노사 간 마찰 등 여러 이유로 무산됐다. 정부지원금 없이 회사가 거친 파고를 뚫고 나갔던 이미지를 지켜내기 위한 의지도 한 몫을 담당했다.

당시 한 현대중공업 소속 직원은 "어려운 상황이 많았지만 정부 지원 없이 회사가 유지 및 운영됐던 게 하나의 자부심이기도 했다"며 "다른 회사 사례를 거론하기 외람되지만 대우조선해양처럼 한 번 정부의 지원을 받기 시작하면 속절없이 무너지는 것이 업계 속성"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면서 "최대한 정부 지원을 받지 않는 선에서 유지해보려 노력하는 중"이라고 의견을 전했었다.

실제로 2015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4조 2000억 원을 지원받았던 대우조선해양은 2017년 2조 9000억 원 상당의 추가 신용한도 지원을 한 차례 더 받았다. 이에 언론에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이란 비판이 쏟아진 바 있다. 최초 지원이 이뤄진 지 5년이 지났지만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는 여전히 산업은행으로, 사실상 정부의 관리 아래에 있는 셈이다.

현재 현대중공업은 일감이 바닥난 해양 부문 인력을 조선 물량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인력 활용을 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관계자는 "하반기로 갈수록 조선 부문 일감이 늘어나 인력 활동도가 높아질 것이란 관측이 높다"며 "이럴 경우, 고용유지지원금 신청 규모는 600명에서 점차 줄어들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때 조선 3사를 강타했던 순환휴직은 이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은 진행 중인 순환휴직 인원이 전무한 상황이고 현대중공업은 해양사업부 인력에 한해 휴직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