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기자

dsk@ekn.kr

송두리 기자기자 기사모음




[친환경 에너지전환-유럽에서 답 찾다⑨] 해외 전문가들 "한국 에너지전환, 낮은가격 필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8.08.20 08:56
독일 태양광

▲독일 곳곳에 있는 태양광 패널.(사진=송두리 기자)

태양광 패널

▲독일 한화큐셀 R&D센터에 있는 태양광 패널.

[글·사진=코펜하겐(덴마크)=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독일과 덴마크에서 만난 에너지 전문가들은 한국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까지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신재생에너지 3020’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발전한 에너지를 ‘낮은 비용’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는 자원이 아닌 기술"이라며 "더 경제적이고 효율이 높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이는 것은 전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필연적인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효율 좋은 기술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 우수한 기술 보유, 국민 참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독일과 덴마크는 에너지 전환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40년 이상 이어가며 정부가 일관된 정책을 펴고 꾸준히 지원을 했으며 국민 지지를 받아 지금과 같은 신재생에너지 선도국이 될 수 있었다. 한국은 이제 막 신재생에너지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이지만, 해외 국가들이 거쳐온 사례가 있어 이를 참고하고 시행착오를 줄인다면 신재생에너지 확대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했다.


◇獨 "한국, 태양광에너지 확대 ‘정부역할’ 중요해"

태양광 에너지 취재를 위해 만났던 독일 전문가들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요소로 정부 노력을 꼽았다. 태양광 부문에서는 태양광 모듈이나 저장장치 제조사들이 실제 한국기업인 경우가 많아 기술적 기반은 갖춰져 있어 지금은 정부가 나서서 국민 관심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가장 최신 통계인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총 4065만 5803MWh으로 총 발전량 7.24%를 차지한다. 태양광 발전량은 이중 12.6% 수준인 512만 2441MWh 규모에 불과하다. 보급량을 보면 신재생에너지는 1차 에너지 보급량의 4.81%인 총 1417만 8000TOE(석유환산톤) 규모며, 태양광은 이중 7.7%(109만 2800TOE) 수준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35기에 해당하는 48.7GW 규모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독일 한화큐셀 R&D센터 이안 클로버(Ian Clover) 커뮤니케이션 책임자는 일본과 인도 사례를 들며 태양광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에너지 전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안전하고 합리적인 에너지원을 찾았다"며 "깨끗하고 효율적으로 여겨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적극 받아들여 지난해는 한화큐셀의 일본 시장점유율을 높았을 정도로 태양광 시장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산자부에 따르면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후 발전차액지원제도(FIT)에 따라 태양광 설치가 급증했고 연평균 55% 증가세를 보이며 2016년에는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 시장으로 부상했다.

이안 책임자는 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인도가 2022년까지 100GW 용량을 건설하겠다고 했을 때 주변에서는 이를 믿지 않았지만, 그들은 이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궤도에 올라있다"며 "한국 정부도 좀 더 적극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을 것 같다"며 말했다. 이어 "에너지 자립을 위해 주택 소유자들이 태양광이나 태양열, 저장 장치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여러 인센티브를 한국 정부가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풍력, 저풍속에서도 효율↑…"한국, 세계 터빈기술 활용해야"

풍력발전 수정

▲덴마크 해안가에 보이는 풍력발전 터빈.

풍력 수정

▲덴마크 해안가에 보이는 풍력발전 터빈.

풍력 에너지 취재를 위해 만났던 덴마크 전문가들은 최근 세계적으로 풍력 터빈 기술이 눈에 띄게 발전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이 해외 기술을 적극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외에서 받아들인 기술로 풍력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발전 비용도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풍력 에너지는 바람 등 자원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비중이 떨어진다. 국내 풍력 발전량은 2016년 기준 168만 3142MWh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4.1%를 차지하는 데 그친다. 재생에너지 중에서는 해양에너지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보급량은 35만 5340TOE로 신재생에너지의 2.5%만 차지한다.

덴마크 에너지기구(DEA) 에릭 키예르(Erik Kjaer) 글로벌 협력 특별 고문은 한국이 해외 시장에 좀 더 개방적일 것을 주문했다. 그는 "최근에는 저풍속에 더 적합한 터빈이 판매되고 있으며 바람 방향 등 조건이 변해도 안정적인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며 "한국은 이용 가능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발전된 해외 기술을 받아들여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육상과 해양 자원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전세계 개발자, 제조업체, 컨설턴트에게도 개방돼야 한다"며 "이 때 발생하는 경쟁은 프로젝트 경제적 성과를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도 장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덴마크 전력회사 외르스테드(Ørsted) 울렉 스트리드베크(Ulrik Stridbæk) 그룹규제 업무 부사장도 "최근 풍력 터빈 효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도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1991년 첫번째 해상 풍력 발전소에 짓던 각 터빈의 용량은 0.45MW였는데 지금은 8MW로 약 18배가 늘었다"며 "풍력 터빈 직경이 점점 길어지고 규모도 커지면서 각 터빈에서 발생하는 용량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가지고 있는 풍력 자원이 어느 정도인지도 물론 중요하지만 최근 개발되는 풍력 터빈은 저풍속에서도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더 많은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한국을 비롯한 더 많은 나라에도 적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격 경쟁력’ 관건

태양광 사진

▲독일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

이들 조언은 궁극적으로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가격 경쟁력과 연결된다. 에너지 공급을 늘리고 우수한 기술을 갖춘 설비를 이용한다면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 하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독일 한화큐셀 R&D센터 막시밀리안 슈라데(Maximilian Schurade) 해외 R&D부서 기술 마케팅 지원 책임자는 "최종적으로는 만들어진 신재생에너지가 낮은 전기 가격을 형성해 얼마나 잘 팔리는 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3kW급 가정용 태양광 에너지원별 균등화된 발전비용(LCOE)은 1kWh당 한국 134원, 독일 118.2원, 중국 98.3원 등으로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발전 비용이 높은 편이다. 그는 "낮은 가격대를 이루기 위해선 무엇보다 생산 제품 품질이 바탕이 돼야 한다"며 "기본적으로 효율적인 품질을 가진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덴마크 외르스테드 울렉 부사장도 "풍력 에너지 도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풍력 에너지가 다른 에너지원과 가격 경쟁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늘날 북유럽 국가에서는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한 새 에너지 용량을 건설하는 것보다 해상과 육상 풍력에서 새 용량을 만드는 것이 더 저렴하다"며 "풍력 터빈이 최근에는 더 커지고 효율적으로 성장하면서 풍력 에너지 가격을 경쟁력 있게 만들고 있어 한국도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생에너지 투자를 유치해서는 에너지 설비 건설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정치 공약과 투명한 허가 프로세스를 도입해 정부가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