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20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천근영 기자

chun8848@ekn.kr

천근영 기자기자 기사모음




하루가 급한 민전, 대응책 마련에 '고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4.20 21:42

[에너지경제신문 천근영 기자] # 발전설비용량 1560MW 규모로 중견 민전회사 포천파워. 2014년 131억원의 순이익을 낸 알짜회사가 2015년 129억원의 순손실을 내더니, 작년에는 444억원으로 적자가 났다. 모기업인 대림산업이 유상증자 등을 통해 수혈에 나섰지만 결국 자본잠식에 빠졌다. 처음 민전시장에 발을 들여놓으면서 가졌던 장밋빛 꿈은 2014년 한해 일장춘몽이 된 셈이다.

# 110MW의 발전설비를 갖고 있는 별내에너지와 550MW의 대륜발전. 이들 회사의 모기업 격인 한진중공업은 작년 이들 회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못 팔고 있다. 사업가치가 낮다고 판단, 시장이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 매각주간사를 맡은 미래에셋대우 측은 처음에는 "매각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호기를 부렸으나 현재는 거의 손을 놓다시피 했다.

삼천리의 민전 자회사 에스파워(830MW)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명분상 삼천리그룹이 에너지사업 구조조정 차원에서 발전부문을 정리하기 위해 에스파워 매각을 추진한다고 알려졌으나 사실은 "민전사업 정리 수순"이라고 민전 업계는 관측한다. 이런 상황은 비단 이들 회사 뿐만이 아니다. LNG를 연료로 쓰는 거의 모든 민전회사가 ‘오십보 백보’다.

절반 이상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적자를 면한 민전회사도 겨우 연명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11개 민전회사 가운데 소위 ‘장사’가 되는 곳은 포스코에너지와 GS파워 SK E&S 정도다. 그나마 규모가 큰 회사들이다. 1000MW 남짓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거의가 빈사상태다.

왜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 잘못된 수요 예측과 경쟁력을 잃은 발전단가 때문이다. 정부 역시 이런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 작년 용량요금을 평균 2원 인상해 숨통은 틔워준 것도 이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민전회사 관계자는 "전력수요 예측이 잘못돼 공급과잉 상태가 계속된 데다 (전력거래소에서) 상대적으로 원가가 싼 원전과 석탄화전을 우선 구매하면서 평균 가동률이 40% 수준에 불과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2011년 9.11 대정전 이후 정부가 LNG발전소 건설 허가를 무더기로 내준 것이 결국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관계자는 "친환경발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LNG를 연료로 하고 있는 중소 민전회사의 도산은 필연"이라고 했다.

현재 민간발전협회 회원사는 포스코에너지, SK E&S, GS EPS, 에스파워(삼천리), 포천파워(대림), 하나파워(하나대투증권), 동두천드림파워(서부발전,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GS에너지), CGN율촌(중국 원전회사) 등 8개사다. 여기에 집단에너지사업자인 별내에너지(한진중공업) 대륜발전(한진중공업) 하남열병합(SK E&S) 등도 중앙급전방식으로 용량요금(CP)의 적용을 받고 있어 민전 업계로 분류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