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 19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박성준 기자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시대의 개막 …취임식 어떻게 진행되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7.01.20 15:52


도널드 트럼프가 20일(현지시간) 마침내 미국 제45대 대통령에 취임한다.

트럼프는 이날 수도 워싱턴DC의 연방의회 의사당 앞 광장 특설무대에서 취임식을 하고 세계 최강국 대통령으로서 4년의 여정을 시작한다.

억만장자 부동산재벌 출신으로 공직과 군 복무 경험이 없는 ‘아웃사이더’ ‘트럼프 시대’의 역사적인 개막이다.

철저한 국익 중심의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한 트럼프 정권의 출범은 동맹과 자유무역을 두 축으로 구축돼온 전후 70년 세계 질서의 대대적인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트위터 140자’의 ‘위협’으로 거대 기업의 투자를 끌어내는 등 미증유의 마피아 보스식 국정운영의 파장은 지구촌을 강타할 전망이다.


기존 질서의 대변혁을 예고한 ‘트럼프 시대’의 개막을 지구촌은 숨죽인 채 지켜보고 있다.

90만 명의 관람 인파가 모인 가운데 취임식은 오전 11시 30분부터 정식으로 시작된다.

정오(한국시간 21일 오전 2시)에 트럼프는 존 로버츠 대법원장 앞에서 선서한 데 이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주제로 취임연설을 한다.

트럼프는 집권 청사진을 공개할 취임연설에서 대선 핵심공약인 일자리 창출과 경제살리기, 중산층 복원을 약속하면서 서방의 집단안보체제인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개편 등 트럼프식 세계 질서 구축 등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버락 오바마 정부의 핵심건강보험정책인 ‘오바마케어’ 폐지와 대안 마련을 공개하고 워싱턴의 낡고 부패한 정치 관행 일소 등을 선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취임연설을 마친 트럼프는 의회에서 상·하원 의원들과 오찬을 한 뒤 백악관에 이르는 2.7㎞에서 90분간 차량 퍼레이드를 펼친다.

트럼프는 이어 백악관에 입성해 공식 업무를 시작하며 밤에는 워싱턴 시내에서 열리는 3곳의 공식 무도회에 참석한다.

그러나 새 정권의 출범을 알리는 통합과 축제의 무대가 돼야 할 취임식은 ‘분열적’ 대선전의 후유증 탓에 ‘반쪽 행사’로 전락했다.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에 따른 ‘정통성 시비’가 일면서 흑인 인권운동의 아이콘인 존 루이스(민주·조지아) 하원의원 등 의원 60여 명이 취임식 보이콧을 선언했으며 수십만 명의 ‘반(反) 트럼프’ 시위자들이 워싱턴DC로 몰려들었다.

이 때문에 백악관과 의사당 주변은 사실상 완전한 통제 상태가 됐다.

경찰과 주 방위군 2만8000여 명이 취임식 행사장 안팎을 지키고 있으며, 시 외곽에도 병력 7800명이 추가로 투입됐다.

트럼프가 역대 최저 수준인 40%의 지지율로 취임하는 것이나, 각료 인선은 마무리했지만, 엑손모빌 최고경영자 출신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 등 각료 후보자 대부분이 인준을 받지 못한 것 등도 새 정권 출범 열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트럼프 시대’는 전후 질서가 시험대 위에 오를 전망이다.

그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나토 동맹 무용론을 제기하고 유럽연합(EU) 흔들기에 나선 데 이어, 적대국인 러시아를 끌어들여 주요 2개국(G2)으로 부상한 중국을 견제하고 유엔조차 ‘사교 클럽’ 취급을 하는 등 전후 질서의 대변혁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일자리 창출이라는 대선 최대공약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보호무역의 파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그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흔들고 중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보복에 나설 경우 G2 갈등이 격화해 그 파장이 한반도에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윌버 로스 상무장관 내정자는 18일 인준청문회에서 "중국은 최대 보호무역국가이다. 철강과 알루미늄 덤핑에 고관세를 물리겠다"며 무역보복을 예고했다.

국내적으로는 취임 즉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이민 행정명령’을 폐기하고 불법이민 단속에 나서는 동시에, 대표업적인 건강보험 ‘오바마케어’를 폐기하고 대체법안 마련을 추진하는 등 진보 정권 8년 지우기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G2 갈등이 격화해 그 불똥이 튀고 트럼프 정권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하거나 한미 FTA까지 고치자고 들면 한·미 동맹이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경한 트럼프 안보진용이 군사옵션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밝히고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둘러싼 상당한 긴장이 조성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배너
배너